요청자는 전자 서명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주체입니다. 즉, 서명 받아야 하는 문서를 업로드하고 서명을 요청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요청자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서명할 문서 업로드: 임베디드 초안 생성 API를 사용하면 임베딩된 모두싸인 화면에서 요청자가 직접 서명할 문서를 업로드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임베디드 템플릿 생성 상세보기 >)
참여자 정보 설정: 문서를 서명/열람할 사람의 정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참여자 정보란 참여자의 이름, 연락처, 추가 인증 수단, 서명할 위치와 서명 수단 등을 말합니다.
문서 진행 상태 관리: 서명 시작부터 완료까지 진행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합니다. Webhook, 문서 상세 조회 API, 문서 목록 조회 API를 이용하면 문서 진행 상태를 실시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요청자를 위한 문서 진행 상태 조회 기능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참여자에게 서명 리마인드: [서명 요청 알림 재전송 API](서명 요청 알림 재전송)를 이용하면 문서를 확인하지 않은 서명자에게 알림을 다시 보내서 문서 완료 시간을 앞당길 수 있습니다.
참여자는 요청자가 보낸 문서를 확인하거나(열람) 지정된 위치에 서명하는 사람을 말하며 서명자, 열람자를 통칭합니다.
참여자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알림 받고 서명/열람하기 : 이메일, 카카오톡으로 전송된 알림으로 문서를 확인하고 지정된 위치에 서명할 수 있습니다.
특정 링크에 접속해서 서명/열람하기 : API에서 서명 수단을 이메일, 카카오톡, SECURE_LINK 총 3가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SECURE_LINK를 이용하는 서명 요청의 경우, 임베디드 서명자의 보안링크 조회 API를 이용하면 서명자에게 전달할 서명/열람용 링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보 입력 : 계약서상 입력해야 하는 정보(이름, 주소, 계약 금액, 계약 날짜 등)를 요청자가 설정한 서명자 입력란에 기입합니다.
요청자 입력란(필드)는 요청자가 참여자에게 문서를 보내기 전에, 미리 특정 정보를 기입하여 보내고 싶을 때 사용하는 입력란입니다.
활용 예시
정보 사전 기입: 계약서의 특정 조항, 금액, 날짜, 상대방의 정보 등 요청자가 이미 알고 있는 데이터를 문서에 미리 채워 넣어 참여자에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참여자는 문서를 확인하고 서명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입력 타입
텍스트: 이름, 금액 등 텍스트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체크박스: 항목별 포함 여부 등을 체크박스를 이용해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요청자 도장 이미지 등 이미지 파일을 문서에 넣을 수 있습니다.
드롭다운: 입력해야 하는 값이 목록화되어 있는 경우, 드롭다운을 이용하면 빠르게 문서에 입력할 수 있습니다.
요청자 이름: 모두싸인 계정에 등록된 요청자 이름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오입력 방지: 참여자가 직접 입력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타나 잘못된 정보 기입을 사전에 방지하여 문서의 정확성을 높입니다.
효율적인 문서 준비: 동일한 양식 내에서 일부 정보(금액, 계약 당사자 이름 등)만 조금씩 바뀌는 문서로 전자 서명을 이용하는 경우, 요청자 입력란을 활용하여 문서를 효율적으로 준비하고 발송할 수 있습니다.
참여자 입력란(필드) 는 서명 요청을 받은 참여자가 직접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거나 서명을 기입할 수 있는 입력 필드를 의미합니다.
참여자 입력란은 참여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한 핵심적인 기능으로, 요청자는 문서 준비 단계에서 참여자가 기입해야 할 위치와 종류(서명, 텍스트, 체크박스 등)를 문서 미리 지정합니다.
API 활용 예시
정보 수집: 참여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 동의 여부 등 필요한 데이터를 직접 입력받을 수 있습니다.
서명/도장 입력: 문서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서명이나 도장을 입력받는 공간입니다. 참여자는 직접 서명을 그리거나, 저장된 서명/도장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자동으로 생성된 서명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입력 타입: 단순 텍스트 입력 외에도 다음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입력란을 제공하여 상황에 맞는 문서 작성이 가능합니다.
서명/도장: 참여자의 서명 또는 도장을 입력받습니다.
텍스트: 이름, 주소 등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습니다.
체크박스: 특정 항목에 대한 동의 여부 등을 표시합니다.
서명한 날짜: 서명자가 서명한 날짜가 자동 입력됩니다.
날짜: 계약일, 서명일 등 날짜를 입력받습니다.
드롭다운: 목록화된 선택지를 제공해서 서명자가 드롭다운 선택만으로 빠르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자동입력 : 서명자가 여러 입력란에 동일한 내용을 기입해야 할 때, 한 번 입력한 값이 모두 동일한 값으로 자동 입력 되도록 설정합니다. 서명자 이름, 회사 이름, 주소를 기본 지원하며, 커스텀하여 추가 생성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요청: 참여자로부터 수집받아야 하는 첨부파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필수/선택 설정: 각 입력란을 필수 또는 선택 항목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필수 입력란을 모두 채우지 않으면 참여자는 서명 완료를 할 수 없어 정보 누락을 방지합니다.
구분 | 요청자 입력란 | 참여자 입력란 |
---|---|---|
정보 입력 주체 | 요청자 | 참여자 |
정보 입력 시점 | 문서 발송 전 | 문서 수신 후 |
주요 목적 | 정해진 정보를 사전에 기입하여 전달 | 참여자로부터 정보 수집 |
활용례 | 계약 조건, 날짜 등 확정된 정보 사전 입력 | 서명, 연락처, 주소 등 참여자가 직접 기입해야 할 정보 |
유형 | 텍스트, 체크박스, 이미지, 드롭다운, 요청자 이름 | 텍스트, 체크박스, 드롭다운, 서명/도장, 서명한 날짜, 날짜, 자동입력(서명자 이름, 회사 이름, 주소, 맞춤 입력란), 첨부파일 요청 |
요청자, 참여자 입력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기능 설명은 모두싸인 고객센터 가이드 페이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데이터 라벨은 문서에 추가된 요청자와 참여자 입력란을 고유하게 식별하도록 부여하는 식별자(ID)입니다. 모두싸인 API와 연동 시 입력란 값을 미리 지정하여 서명 요청하거나, 참여자가 문서에 작성한 값을 가져올때 식별자로서 활용됩니다.
모두싸인에서 요청자, 참여자 입력란을 편집할 때 화면 우측 패널에서 데이터 라벨 기능을 보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 라벨명은 원하는 값으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띄어쓰기 포함 최대 100자)
활용 예시
입력란 값 지정하기 : 서명 요청 시 데이터 라벨 값 기준으로 '요청자 입력란'을 찾아 원하는 값을 미리 채워넣을 수 있습니다.
입력란 값 조회하기 : 참여자가 서명하면서 문서에 적은 입력란 값(이름, 연락처, 금액 등)을 데이터 라벨을 식별자로 사용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API 에서 참여자 입력란은 신규 서명 요청할 때 값을 미리 지정할 수 없습니다.
참여자 입력란은 문서에 서명하는 과정에서 참여자가 직접 입력해야 하는 정보이므로 요청 단계에서 미리 지정할 수 없습니다.
데이터 라벨을 이용한 입력란 지정은 '요청자 입력란'만 지원됩니다
관련 API
<CardGroup cols={2}>
<Card title="서명자 입력란 조회 API" href="apidog://link/pages/1119821">
서명자가 입력란에 적은 값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Card>
<Card title="요청자 입력란 조회 API" href="apidog://link/endpoint/17910490">
요청자가 입력란에 적은 값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Card>
</CardGroup>
문서 라벨 (Label)
문서 라벨은 문서 자체를 분류하고 검색하는 데 쓰이며, 하나의 문서에 여러개의 라벨을 붙일 수 있습니다.
문서에 라벨을 추가하는 방법
신규 서명 요청 시, 요청 정보에 라벨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미 서명 요청을 보낸 문서에 라벨을 추가하고 싶은 경우 문서에 라벨 추가 API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한눈에 보는 비교표
구분 | 데이터 라벨 (Data Label) | 문서 분류 라벨 (Label) |
---|---|---|
핵심 목적 | 입력란의 프로그래밍적 식별 | 문서의 효율적인 분류 및 검색 |
적용 대상 | 문서 내 입력란 (텍스트, 서명 등) | 문서 자체 |
주요 사용자 | 개발자 (API 연동 시) | 모든 사용자 (문서 관리자, 일반 직원 등) |
유사 기능 | 프로그래밍 언어의 변수명 | 파일 관리 시스템의 태그(Tag) 또는 폴더 |
주요 활용 예시 | API로 '이름' 입력란( | "인사팀", "2025년 계약" 라벨을 붙여 관련 문서만 모아보거나 검색 |
관련 API
<CardGroup cols={2}>
<Card title="라벨 생성 API" href="apidog://link/endpoint/17910519">
문서 라벨을 API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Card>
<Card title="라벨 목록 조회 API" href="apidog://link/endpoint/17910520">
워크스페이스가 현재 갖고 있는 라벨 정보를 불러 옵니다.
</Card>
<Card title="문서에 라벨 추가 API" href="apidog://link/endpoint/17910494">
서명 요청이 완료됨 문서에 라벨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Card>
<Card title="문서에 라벨 제거 API" href="apidog://link/endpoint/17910495">
기존에 문서에 붙어 있던 라벨을 제거합니다.
</Card>
</CardGroup>
임베디드 서명 요청은 문서 설정 및 서명 요청 과정을 모두싸인과 연동할 시스템 안에 임베디드된 화면으로 삽입하는 기능입니다.
활용 예시
사용자가 직접 문서를 설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문서 업로드, 참여자 설정, 서명 필드 지정 등을 서비스 화면 내에서 선택적으로 직접 구성할 수 있어, 자동화되지 않은 계약 흐름 적용 시 활용 가능합니다
장점
모두싸인에서 제공하는 문서 설정 화면을 그대로 내부 시스템에 임베드하여 편리한 UX로 문서 업로드, 서명자 입력란 설정 등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관련 API
<CardGroup cols={2}>
<Card title="임베디드 초안 생성 API" href="apidog://link/endpoint/17910496">
요청자가 임베디드 화면을 보며 문서에 필요한 모든 설정을 처음부터 진행합니다.
</Card>
<Card title="템플릿으로 임베디드 초안 생성 API" href="apidog://link/endpoint/17910497">
미리 정해진 문서 템플릿을 불러온 화면에서 요청자가 필요한 부분만 수정합니다.
</Card>
</CardGroup>
임베디드 보안 링크는 서명자가 문서에 서명하는 과정을 연동할 서비스 안에 삽입하는 기능입니다.
활용 예시
서명 요청 API를 이용하면 기본적으로 서명자의 이메일 주소 혹은 카카오톡으로 서명 알림을 보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이메일, 카카오톡과 같은 외부 링크로 벗어나지 않고, 모두싸인과 연동한 시스템 안에서 서명을 진행하도록 만들고 싶을 때 임베디드 보안 링크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장점
내부 시스템과의 사용자 경험 통합 : 외부 링크로 벗어나지 않고 내부 시스템 안에 서명 환경을 자연스럽게 녹여낼 수 있습니다.
이탈 방지 : 이메일, 카카오톡 알림에 비해 외부 페이지로 이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합니다.
보안 : 임베디드 서명은 생성 후 특정 시간(기본 10분) 동안만 유효한 일회성 URL을 이용하므로 보안성이 높습니다.
관련 API
<CardGroup cols={2}>
<Card title="임베디드 서명자의 보안링크 조회 API" href="apidog://link/endpoint/17910499">
참여자가 문서에 서명할 수 있는 링크를 조회합니다.
</Card>
</CardGroup>
한눈에 보는 비교표
구분 | 임베디드 보안 링크 (Embedded Secure Link) | 임베디드 서명 요청 (Embedded Signature Request) |
---|---|---|
목적 | 요청 받은 문서를 서명/열람하기 | 새로운 서명 요청하기 |
사용 주체 | 참여자 (임직원, 협력 업체 등) | 요청자 (관리자, 계약 담당자 등) |
주요 기능 | 내 서비스 화면 안에서 서명 진행 | 내 서비스 화면 안에서 문서 업로드, 참여자 설정 등 서명 요청 준비 |
API 호출 | 참여자별 서명 URL 생성 | 서명 요청 편집기 URL 생성 |
서명 유효기간은 참여자가 문서에 서명을 완료해야 하는 마감 기한을 의미합니다. 이 기한이 지나면 더이상 서명을 진행할 수 없게 됩니다.
유효기간 설정 : 유효기간 기본값은 14일입니다. 서명 요청 시 필요에 따라 내가 원하는 기간(최대 1년)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유효기간 만료 시 : 설정된 유효기간 내에 참여자가 서명을 완료하지 않으면 서명 링크가 비활성화되어 참여자는 더 이상 서명할 수 없습니다. 링크를 다시 활성화하려면 현재 차례의 서명 유효기간 변경 API를 호출하여 유효기간을 연장해야 합니다.
순서 있는 서명 : 앞 순서 참여자가 서명을 완료하는 순간, 다음 순서 참여자에게 서명 알림이 전송되며 서명 유효기간이 시작됩니다.
순서 없는 서명 : 모든 참여자에게 동일한 서명 유효기간이 적용됩니다.
새로운 서명을 요청할 때, 각 참여자의 정보를 담는 participants
객체 내의 signingDuration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여 유효기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단위: 분 (minutes)
최소값/최대값: 60분(1시간) / 525,600분(1년)
기본값: 값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인 20,160분(14일)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요청 예시
{
"title": "근로계약서",
...
,
"participants": [
{
"name": "김모두",
"signingOrder": 1,
"signingMethod": {
"type": "EMAIL",
"value": "modu.kim@modusign.co.kr"
},
"signingDuration": 43200 // 30일 (43200분)로 유효기간 설정
}
]
...
}
이미 서명 요청이 발송되어 진행 중인 문서의 경우, 현재 서명할 차례에 있는 참여자의 유효기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순서 있는 서명에서 두 번째 서명자가 서명할 차례일 때, 해당 서명자의 유효기간만 수정이 가능합니다.
<CardGroup cols={2}>
<Card title="현재 차례의 서명 유효기간 변경 API" href="apidog://link/endpoint/17910486">
현재 서명 순서에 해당하는 참여자의 유효기간을 원하는 날짜와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Card>
</CardGroup>
전자 서명과 전자 계약의 신뢰도를 보장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는 감사 추적 인증서(Audit Trail Certificate) 입니다. 감사 추적 인증서는 계약의 법적 효력을 증명하고, 분쟁 발생 시 중요한 증거 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 추적 인증서는 전자서명 문서가 생성되고, 모든 참여자의 서명이 완료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시간 순서대로 기록한 증명서입니다.
이 인증서는 서명 완료와 동시에 자동으로 생성되며, 서명이 완료된 원본 문서와 함께 모든 참여자에게 전달됩니다. 이를 통해 누가, 언제, 어떤 환경에서 문서에 접근하고 서명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자서명은 전자서명법
과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
에 따라 실제 서명(인감)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갖습니다.
감사 추적 인증서는 이러한 법적 효력을 뒷받침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해당 전자서명 문서가 위변조되지 않았고, 명시된 서명인이 본인의 의사에 따라 직접 서명했음을 입증합니다.
감사 추적 인증서에는 계약의 전 과정을 증명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상세 정보가 기록됩니다.
문서 정보
문서 제목: 계약서의 이름
문서 ID: 문서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
참여자 정보
이름: 서명에 참여한 사람의 이름
이메일 주소: 서명 참여 시 사용된 이메일
연락처: 본인 인증 등에 사용된 연락처 정보
활동 기록 (로그)
시간: 모든 활동이 발생한 정확한 시간 (타임스탬프)
활동 내용: 문서 생성, 이메일 발송, 참여자의 문서 확인, 서명 완료 등 모든 이벤트
IP 주소: 참여자가 인터넷에 접속한 위치를 식별하는 네트워크 주소
기기 정보: 서명 시 사용한 웹 브라우저, 운영체제 등 기술 정보
문서 상세 조회 API로 감사추적인증서 다운로드 링크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API response body >
auditTrail
>downloadUrl
을 확인해주세요.
다운로드 링크는 10분간 유효합니다.
감사추적인증서는 모든 서명이 완료되어야 발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