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싸인 고객센터

관련 오류 FAQ

서명 시 발생하는 오류는 FAQ를 참고해 주세요.

본인 명의의 휴대폰이 아닌 경우 본인 인증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휴대폰 통신사에 등록된 이름과 번호로 정확하게 입력되어 있어야 합니다.)

서명 요청자에게 재설정하여 서명 요청을 다시 보내달라고 요청해 주셔야 합니다.

  1. 서명 요청자가 잘못된 이름과 번호로 본인 인증을 요청했을 수 있습니다. 

    • 서명 요청자에게 연락하여 정확한 정보로 새로 서명 요청을 전송해 달라고 요청합니다.

  2. 팝업이 차단된 경우, 본인 인증 화면이 나타나지 않거나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팝업 차단을 해제합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경우 팝업 차단 또는 브라우저상의 문제로 본인 인증 창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크롬 브라우저 사용을 권장합니다.)

  3. 본인 인증 문자가 오지 않는 경우, 휴대폰 단말기에 모두싸인 문자 발송 번호가 스팸(차단) 설정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문자 발송 번호 : 02-1666-6410] 스팸 차단 해제 후, 스팸함의 인증 번호 문자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별도의 스팸 차단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시는 경우, 어플의 차단 설정을 한 번 더 확인해주세요.

  4. 개명을 하여 본인 인증을 할 수 없는 경우, 인증이 제한됩니다.

    • 통신사에 정보 변경을 요청한 후 휴대폰 본인 인증을 진행합니다. 개명으로 인한 정보 변경은 SKT(1599-0011), KT(1588-1618), LGT(1544-0010), 알뜰폰 고객센터에서 가능합니다.

  1. 카카오톡으로 전달 받은 서명 요청 메시지 최하단의 [내용 확인하고 서명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2. 휴대폰 번호 확인 화면이 나타나면 가운데 상단의 제목 부분을 클릭합니다.

  3. [다른 브라우저 열기]를 선택하시거나, [링크 복사] 를 선택하여 크롬(Chrome)브라우저에 붙여넣기 합니다. (아이폰 유저의 경우 [Safari 열기] 를 선택하거나, [링크 복사] 선택하여 휴대폰 내의 인터넷 및 크롬 브라우저에 붙여넣기 합니다.)

  4. 모두싸인의 서명 요청 문서 내용을 확인하고 서명합니다.

서명 요청자의 요청에 따라 파일을 첨부할 때, 아래 확장자를 가진 파일은 첨부할 수 없습니다.

  • 실행 파일 .class .com .dll .drv .grp .exe .chm .lib .pif .reg .scr .hlp .shs .msi .msp .msc .nsh .ocx .ovl .sys .vdl .vxd

  • 스크립트 파일 .js .jse .vb .vbe .vbs .pcd .wsc .wsf .wsh .hta .cmd .bat .acc .asp .ccs .htx .je .php .php3 .sbs .sct .shb .shd .vba .ws .wst .jar .ps1 .ps1xml .ps2 .ps2xml .psc1 .psc2 .msh .msh1 .msh2 .mshxml .msh1xml .msh2xm

  • 바로가기 파일 .lnk .scf

  • 압축/아카이브 파일 .cpio .shar .sbx .tar .bz2 .gz .lz .lz .lzma .lzo .sz .xz .z .s7z .ace .afa .apk .arj .b1 .cab .cfs .dar .dgc .dmg .gca .lzh .lha .lzx .sit .sitx .tgz .zoo .par .par2

  • 기타 .ade .adp .ldb .mad .mda .mdb .mdz .snp .bas .mde .mst .cpl .crt .ins .isp

이메일 주소를 정확하게 입력했는지 먼저 확인 부탁드리며, 정확하게 입력하셨다면 아래 사항 확인 부탁드립니다.

  1.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 포털 메일함 사용 시 - 스팸 메일함 확인

    이메일이 일부 메일 서비스나 인터넷 제공 업체에 의해 스팸으로 분류 및 차단되는 경우가 있으니 스팸 메일함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이메일이 다시 스팸으로 분류되지 않도록 발신자의 이름 옆에 있는 '즐겨찾기' 또는 '별표 표시'를 클릭합니다.

  2.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 포털 메일함 사용 시 - 서버 차단 해제

    서버에서 차단되어 스팸 메일함에서도 이메일을 찾을 수 없는 경우, 모두싸인 도메인 또는 이메일을 수신허용으로 설정합니다. 

    • 네이버 : 스팸 메일함 > 수신 차단 목록보기 > 수신 허용/차단 > modusign.co.kr 추가

    • 다음 : 환경설정 > 스팸관리 > 수신 허용/차단 > no-reply@modusign.co.kr 추가

    • 네이트 : 환경설정 > 스팸클린관리 > 수신 허용 > no-reply@modusign.co.kr 추가

  3. Gmail 이용 시 - 필터 또는 탭

    Gmail을 사용한다면 이메일이 소셜 탭이나 스팸함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합니다.

  1. 그룹웨어 사용 시

    • 그룹웨어 서비스의 자체 스팸 아웃 서버에서 모두싸인 서비스 이메일을 스팸으로 인지하고 이메일 수신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 그룹웨어 담당자나 사용 업체에 문의 후 모두싸인 이메일 스팸 설정 해제를 부탁 드립니다.

    • 그룹웨어에서 이메일 계정을 새로 생성 후 곧바로 사용하는 경우, 이메일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 시간이 지나고 나서 재시도해도 이메일이 수신되지 않으면 모두싸인 고객센터로 문의 부탁 드립니다.

    • '메일 플러그' 사용 시 아래 링크 통해 스팸 설정을 확인 및 변경합니다. (메일 플러그 사용 시 스팸 메일함으로 분류>)

  2. 스팸메일 리스트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

    no-reply@modusign.co.kr 주소가 스팸메일 리스트(수신차단 목록) 으로 분류되어 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새로운 문서 보안 기능 출시에 따라, 2018년 9월 6일 이전에 전송된 문서 URL을 통해서는 문서 내용 확인이 제한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다만, 서명 완료 이메일에 '첨부된 문서 파일'을 통해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서명을 진행했던 이메일 주소로 모두싸인에 회원 가입하여 문서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신규 회원인 경우 1개월 무료 이용 기간이 제공됩니다.)

법인 공동인증서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인증서 목록에서 확인되지 않는다면 모두싸인에서 이용가능한 인증서 정책(OID)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사용하고 계신 인증서의 OID 값과, 모두싸인에서 지원하는 인증서 OID값을 비교, 확인 부탁드립니다. 

만약 사용하고 계신 인증서의 OID 값이 모두싸인에서 지원하지 않는 값이라면 모두싸인 고객센터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1. 서명 요청자가 설정한 법인명과 사업자 번호 마지막 5자리 입력 후, [인증 시작하기]를 클릭합니다. 

  1. 하단의 [인증서 찾기] 버튼 클릭, 보유한 법인 공동인증서를 가져옵니다. 

  1. 가져온 인증서의 발급기관과 만료 일자 확인 후, 하단의 [인증서 보기]를 클릭합니다. 

만료일이 지난 인증서는 사용이 불가하며, 인증기관에서 재발급을 진행해야 합니다. 

 

  1. 인증서 보기 > 자세히 > 보유한 인증서의 [인증서 정책]을 확인 후, 모두싸인에서 이용 가능한 인증서 목록에 있는지 확인합니다. 

서명 요청자가 설정한 법인명, 사업자 번호와 보유한 인증서 정보가 다를 경우 인증이 실패할 수 있습니다.